알아두면 힘이 되는

방역패스 발급방법과 벌금

코코누스 2021. 12. 13. 16:15
728x90
반응형

오늘 12월 13일(월)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패스가 의무 적용됩니다. 그 때문인지 점심시간에 식당에 갔더니 QR코드가 먹통이더라고요. 아무래도 갑자기 많은 사람이 동시에 이용해서 그런 게 아닐까 싶네요. 코로나 시대에 꼭 필요해진 방역 패스 발급 방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볼게요.

 

방역 패스란?

 

방역 패스는 백신 접종(2차)을 했거나 PCR 검사에서 음성이라는 것을 확인하는 증명서입니다. 2011년 11월 1일부터 유흥시설이나 노래방 체육시설, 경륜장 등을 입장할 때 적용되었는데, 12월 6일부터는 카페나 식당, 영화관까지 확대 적용되었지요. 12월 12일까지 2주 동안은 계도기간이었어요.

 

 

방역 패스 벌금

 

12월 13일부터는 방역 패스를 제시하지 않은 사람이 다중시설을 이용할 경우, 이용자는 10만 원의 벌금이, 운영자는 1차 위반 시 150만 원, 2차 이상부터는 3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방역 패스 발급방법

 

방역 패스 발급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어요.

첫 번째는 질병관리청의 전자 예방접종증명서(COOV, 쿠브) 어플을 다운로드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카카오나 네이버 QR코드입니다. 물론 휴대전화 사용이 어려운 어르신들은 보건소에서 받은 종이 증명서 또는 주민센터에서 받은 예방접종 스티커를 방역 패스로 사용할 수 있어요. 

 

1. COOV

 

앱스토어나 플레이스토어에서 COOV어플을 다운로드하여야 합니다. 본인 확인을 위한 인증을 해야 하므로, 본인 이름으로 된 휴대전화와 통장이 있어야 해요. 비밀번호 6자리를 설정하면 됩니다.

COOV를 깔면 본인 인증 증명서, 1차 접종 증명서, 2차 접종 증명서 이렇게 세 가지 증명서가 저장되어 있습니다. 특히 어떤 백신을 맞았는지, 언제 접종했는지까지 정확하게 표시되므로, 식당에 따라서 네이버나 카톡 QR이 아니라 COOV를 요구하는 곳도 있으니 깔아 두시는 것이 편할 거예요.

 

 

coov어플
coov 접종증명서

 

2. 네이버 or 카카오

 

네이버나 카카오로 들어가서 사진에서처럼 QR체크라고 되어 있는 곳을 누르면 QR코드가 뜨면서 백신 접종 여부와 백신 접종 후 며칠이 지났는지 살펴볼 수 있어요.

 

 

네이버와 카카오의 QR체크

 

방역 패스 적용 시기와 적용 시설

 

그렇다면 방역 패스를 언제까지 사용해야 하는 걸까요? 현재로서는 내년 1월 2일(일)까지 4주간 진행예정입니다. 적용 시설은 다중이용시설로, 다음과 같습니다.

 

- 식당과 카페,

- 영화관과 공연장,

- 학원, 독서실(스터디카페, 도서관),

- 멀티방, 피시방,

- 박물관, 미술관, 과학관,

- 스포츠경기장

 

 

연말연시인 만큼 다양한 모임들이 많을 텐데요, 건강과 안전을 우선 생각하시길 바랄게요! 더불이 방역 패스, 백신 패스에 대한 찬반 여론도 많은데요, 아래의 글도 읽어보시면 좋겠습니다.

 

 

 

백신패스 찬반 이유

정부는 코로나19 환자 감소세에 따라 21년 11월부터 단계적 일상 회복으로 전환하고 백신 패스(접종증명서)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1차 접종자는 79% 정도, 접종 완료자는

walkingman2021.tistory.co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