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힘이 되는

연봉 계산기와 연봉 실수령액 살펴보기

코코누스 2021. 12. 22. 11:26
728x90
반응형

직장인들의 초미의 관심사는 바로 연봉이다. 연말이 다가오면서 내년 연봉 인상에 대한 기대가 다들 클 수밖에 없는데 연봉이 3백만 원 정도 오르면 실수령액은 얼마나 오르는 것인지 궁금하기만 하다. 연봉을 간편하게 계산하는 방법과 연봉 계산기, 연봉 실수령액을 살펴보자.

 

 

거리의_풍경들
연봉은 직장인들의 최대 관심사다

 

1. 연봉 계산기 사용

 

연봉 계산기는 N포털에서 제공하는 것과 '사람인'이나 '찾아줘 세무사' 등 몇 군데서 제공하는 것 등이 있다. 방법은 거의 다 비슷하다. 대표적으로 N포털의 계산기를 살펴보겠다. N포탈에서 연봉 계산기를 입력하면 임금 계산기가 나온다. 이것으로 시급이나 퇴직금, 실업금여까지 모두 계산할 수 있다. 부양가족수도 추가할 수 있어서 유용하다. 예를 들어 연봉 5천만 원에 자녀가 둘 있는 상황을 입력하면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고용보험 소득세 등을 일목요연하게 살펴볼 수 있고 실수령액도 알 수 있다. 좋은 세상이다. 

단, 부양가족수에는 자신을 포함한 숫자를 입력해야 한다는 점을 잊지 말자.

 

연봉계산기_네이버
N포탈의 임금 계산기

 

 

2. 연봉별 실수령액 비교

 

케이스 바이 케이스일 수 있겠지만, 연봉 2500만원에서 6500만 원까지를 연봉별 실수령액을 표로 정리해보았다.  부양자가 몇 명이나 있느냐, 퇴직금은 별도 정산인지, 포함인지에 따라 회사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을 것이다. 한 달 기준 공제액은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장기요양급여, 고용보험, 소득세와 지방소득세이다. 다들 알다시피 부양자 수가 많을수록 공제를 많이 받게 된다. 

내년도에 나는 아래의 표 중 어디쯤에 자리하고 있을까 생각해본다.

 

 

연봉(단위: 만원) 실수령액 월급여 기타
2500 22,579,360 1,881,613  
3000 26,928,960 2,244,080  
3500 31,016,240 2,584,687  
4000 35,034,280 2,919,523  
4500 39,230,160 3,269,180 부양자 1명
5000 43,027,160 3,585,597 부양자 1명
5500 46,834,960 3,902,913 부양자 2명
6000 50,572,080 4,214,340 부양자 2명
6500 54,420,800 4,535,067 부양자 2명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