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힘이 되는

만 나이 계산기 간단 정리

코코누스 2021. 12. 10. 18:35
728x90
반응형

우리나라 나이는 계산법이 독특합니다. 태어나자마자 1살이니까요. 그러다 보니 이력서를 쓸 때, 혹은 외국인에게 본인의 나이를 소개해야 할 때, 좀 난감한 경우가 있습니다. 또 투표 가능 여부나, 군대 입대, 운전면허 취득이나 공무원 지원 등에는 반드시 만 나이를 알아야 하죠. 만 나이 계산을 쉽게 하는 방법을 알아볼게요.

 

 

우리나라의 세 가지 나이


우리나라에는 세 가지의 나이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한국식 나이입니다.

통상 우리나라에서만 쓰이는, '한국식 나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12월 31일에 태어났어도 다음날이 되어 해가 바뀌면 그 아이는 2살이 되는 거죠. 놀랍죠! 한국식 나이는 1월 1일이 기준이기 때문에 해가 바뀌면+1살이 됩니다.

 

두 번째는 만 나이입니다.

공공기관이나 병원에서는 만 나이를 쓰도록 법으로 규정되어 있어요. 갓 태어난 아이는 0살이 되는 것이고 매년 자신의 생일이 되면 +1살이 됩니다. 제가 병원에 입원한 적이 있는데, 병실에 적힌 나이가 한국식 나이보다 무료 2살이나 적어서 깜짝 놀란 적이 있어요. 그만큼 만 나이는 한국식 나이와 차이가 많습니다. 여러분도 약국에서 받은 약봉지 등에 적힌 나이가 차이나는 경험이 있을 거예요. 

 

세 번째는 연 나이입니다.

연 나이는 병역법과 청소년보호법에서 사용되고 있다고 해요. 연 나이는 현재에서 태어난 연도를 빼는 방식으로 계산합니다. 즉 생일이 지나고 말고 와 상관없이 같은 해에 태어난 사람들은 모두 같은 나이가 되는 거죠. 

 

 

만 나이 계산기


그렇다면 만 나이를 빨리 정확하게 계산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포탈에 들어가서 만 나이 계산기를 치면 나오는 화면에 숫자만 적으면 만 나이와 띠를 자동으로 계산해 줍니다만 계산법의 원리 정도는 상식으로 알고 있어야겠죠? 만 나이는 계산하는 날짜를 기준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2021년 12월 10일을 기준으로 1980년 12월 24일생인 사람의 만 나이는 아래와 같이 계산할 수 있어요.

 


2021 - 1980 = 41 -1(생일이 지나지 않았으므로) =만 40세

 

이번에는 같은 해인 1980년 6월 30일생인 사람의 만 나이를 계산해 볼게요.

 


2021 - 1980 = 41 - 0(생일이 지났으므로) = 만 41세

 

만나이계산기
포털사이트의 만 나이 계산기

 

 

같은 1980년생이라도 띠는 같지만, 만 나이는 다를 수 있습니다. 계산법은 현재의 연도에서 태어난 연도를 빼면 되는데,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여기서 다시 -1을 하면 만 나이가 됩니다. 정말 쉽죠? 굳이 포털의 계산기를 이용하지 않아도 누구나 거뜬히 계산할 수 있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