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문에는 수많은 패션상가들이 즐비하고 사람들로 늘 북적인다. 유동인구가 많은 만큼이나 골목골목마다 음식점들이 빼곡하다. 특히 종로 5가에서 동대문역 사이는 동대문 닭한마리 골목으로 유명해 지도에도 나와 있을 정도다. 시장 주변에는 원래 노포들이 자리 잡게 마련인데, 남대문시장에는 갈치 골목이 있다면, 동대문시장에는 닭한마리 골목이 있다.
'닭한마리'라는 음식은 주변 시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허기를 달래준 음식으로 30여 년 전부터 자리잡기 시작했다고 한다. 닭 한 마리에 야채를 넣고 푹 끓여 양념장에 찍어 먹고 남은 국물에 칼국수 사리를 넣어 먹는다. 먹을 것이 풍요롭지 않은 시절에는 비교적 싼 값에 건강과 배부름을 함께 해결해 준 음식이라 할 수 있다.
좁은 골목으로 들어서면 작고 낡은 식당들이 줄지어 있고 푹 끓인 닭냄새가 손님을 반긴다. 가게의 50% 정도가 닭한마리라는 간판을 달고 있는데, 사실 이 골목의 닭한마리 맛은 집집마다 큰 차이는 없다. 비법이라고 하는 육수와 양념장의 맛이 조금씩 다를 뿐이다. 그럼에도 가장 손님이 많은 곳은 원할매소문난닭한마리와 진원조닭한마리 집이다. 이 집들은 매장이 크지만 주말에는 웨이팅을 할 수도 있다.
특히 원할매소문난닭한마리집은 영화 히말라야의 모델이기도 한 엄홍길 대장이 자주 찾는 곳이라고 입간판이 걸려 있다.
어느 집이나 가격은 비슷하다.
닭한마리 가격 : 20,000~25,000원(22,000원이 가장 많다)
영업시간 : 명절 당일 휴무 또는 연중무휴
주차 : 근처 두타몰에서 물건 구입하면 2시간 무료, 주변 노상주차장 이용
기본으로 닭한마리가 들어가고 가게에 따라 팽이버섯, 감자, 떡사리 등이 들어간다. 만두 등의 메뉴를 추가할 수도 있다. 마늘과 겨자가 많이 들어간 양념은 포슬 하게 익은 닭의 풍미를 잘 살려준다. 뜨끈하고 진한 국물은 아마도 호불호가 거의 없는 영양식이기도 하다. 기본 반찬은 물김치와 단무지 정도. 닭을 거의 다 먹었을 때 칼국수 사리를 넣으면 진한 닭칼국수가 된다.
사람들이 많고, 종업원들도 그다지 친절하지는 않다. 줄 서서 기다리기에도 불편한 장소다. 인스타에 올릴 만한 비주얼도 나오지 않는다. 그럼에도 많은 사람들, 젊은이들이 이곳을 찾는 이유는 다른 곳에서는 흔히 맛볼 수 없는 노포의 맛 때문이 아닐까 싶다. 특히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11월이 되면 이곳 닭 한 마리가 생각난다.
주변에 구경할 만 한 곳으로는 종묘 근처의 익선동이 있다.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하면 된다.
2021.08.04 - [걸으면서 여행하기] - 비오는 날 도심 걷기, 익선동
'알아두면 힘이 되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세청 세금환급 조회와 방법 (1) | 2021.11.03 |
---|---|
출판사 편집자와 마케터는 어떤 일을 할까? (0) | 2021.11.03 |
신평화 주변 일요시장 (0) | 2021.10.31 |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 (0) | 2021.10.28 |
고급스러운 빵을 만날 수 있는 곳, 합정 롤링핀 (0) | 2021.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