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힘이 되는

2022 정월 대보름 날짜 유래 음식 놀이

코코누스 2022. 2. 14. 11:18
728x90
반응형

올해의 정월 대보름은 2월 15일(화)입니다. 정월대보름은 음력 1월 15일로 한 해의 첫 번째 보름날이지요. 우리나라에서는 정월 대보름을 설날에 버금가는 명절로 생각해요. 음력을 중시했던 조상들은 그만큼 새해 들어 처음 맞는 보름날의 의미를 크게 생각한 거죠. 가까운 나라 일본에서는 정월 대보름을 '소정월'로 부르고 국가공휴일로 지정되어 있다고 해요. 정월 대보름에 먹는 음식과 유래를 살펴볼게요.



정월 대보름의 음식



정월대보름에 먹는 것으로는 약밥, 오곡밥과 나물, 부럼 등이 있어요. 오곡밥은 다섯 가지 곡식으로 지은 밥을 말하는데, 쌀에다 보리, 콩, 수수, 팥, 조 등의 잡곡을 섞은 것이에요. 오곡밥에는 그해의 농사가 잘 되기를 바라는 뜻이 담겨 있다고 해요. 또 성이 다른 세 집 이상의 밥을 먹어야 운수가 좋다고 생각해서 오곡밥을 집집마다 나눠 먹었다고 해요. 생각해보면 어렸을 때 동네 아주머니들이 오곡밥을 들고 오셨던 기억이 나네요.

나물은 모두 9가지입니다. 콩나물, 고사리, 도라지나물, 무나물, 시래기나물, 취나물, 고구마순나물, 다래순나물, 호박나물 또는 가지나물이지요. 하지만 어떤 나물로 딱 정해진 것은 아니고 9가지 나물을 사용하면 되어요.

 

부럼깨기는 한 해 동안 부스럼 등을 예방하고 치아를 건강하게 하려는 의미로 날밤이나 호두, 은행, 잣 등의 견과류를 어금니로 깨무는 풍속이에요. 정월 대보름날 아침에 하죠. 아무래도 옛날에는 부스럼병 등이 많았고 치료약도 부족했기 때문에 이런 풍속이 생긴 거로 보고 있어요.  

 

 

땅콩
정월 대보름 부럼깨기

 

정월 대보름 행사와 놀이

 

정월 대보름은 휴일이 아닌데도 꽤 오랫동안 풍속이 이어지고 있어요. 정월 대보름 전날 밤에 잠들면 눈썹이 하얗게 변한다고 해서 잠을 참기도 하지요. 아침에는 부럼깨기와 귀밝이술을 마시고 저녁이 되면 쥐불놀이와 고싸움, 줄다리기 등을 했습니다. 쥐불놀이는 깡통에 구멍을 뚫고 짚을 넣어 불을 붙여 돌리다가 던지는 놀이예요. 애초의 시작은 밭의 잡초를 태우고 쥐도 잡겠다는 것이었지만 이 놀이로 산불이 많이 발생하면서 최근에는 금지되고 있어요. 

더위 팔기는 말 그대로 남에게 더위를 파는 거예요. 그날 만나는 사람들에게 이름을 부른 다음 대답을 하면,"내 더위 사가라!"라고 외치는 거죠. 그러면 먼저 이름을 부른 사람의 더위가 상대방에게 전달되어서 여름을 시원하게 보낼 수 있다는 거죠.

 

 

쥐불놀이 [출처:문화관광부]

 

 

정월 대보름의 유래

 

<삼국사기>에는 정월 대보름에 찰밥을 먹는 이유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실려 있어요.

 

신라 시대, 소지왕이 정월 대보름에 행차를 나섰다가 까마귀와 쥐가 시끄럽게 떠들더니 쥐가 이렇게 말했어요. "이 까마귀가 가는 곳을 따라가 보십시오" 

신하를 시켜 따라가 보게 하자 그곳에는 두 마리의 돼지가 싸우고 있었지요. 신하는 돼지싸움을 보다가 그만 까마귀를 놓쳤고 노인이 나타나 봉투를 내밀었어요. 그러면서 이렇게 말했어요.

"봉투를 열어 읽으면 두 사람이 죽고, 읽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을 것이다."

신하가 임금에게 전하자 옆에 있던 다른 신하가 말했어요.

"두 사람은 보통사람이지만, 한 사람은 전하를 뜻하는 것이니 글을 읽으십시오."

임금이 편지를 열자 '거문고 갑을 쏘아라'라고 적혀 있었어요.

임금은 바로 거문고 갑을 활로 쐈지요. 그 안에는 두 사람이 죽어 있었는데 한 사람은 왕비고 다른 이는 중이었지요. 두 사람은 한통속이 되어 임금을 해치려 한 것이었어요.

 

까마귀 때문에 임금은 목숨을 구할 수 있었던 거죠.

이 때부터 매년 정월 대보름이 되면 찰밥을 지어 까마귀에게 제사를 지내는 풍속이 생겼다고 해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