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서울 아침 기온이 처음으로 영하로 떨어졌다. 핫팩의 계절이 왔다. 핫팩은 뜨거운 주머니라는 뜻이다. 그동안 핫팩의 쓰임새를 잘 모르다가 그 맛을 알고부터는 박스로 준비해두는 겨울철 나의 애정 템이 되었다. 핫팩은 어떤 원리로 열을 내는 걸까? 핫팩의 원리를 알아보자.
핫팩의 성분과 종류
핫팩을 흔들어보면 사가사각하는 소리가 난다. 철가루가 아닐까 생각이 되는데, 맞다. 핫팩에는 철가루와 소금, 활성탄, 톱밥 등이 들어있다. 핫팩은 작동원리에 따라서 충전식, 철 산화식, 목탄식, 액체식 등 종류가 많다. 우리가 가장 많이 애용하는 것은 부직포 주머니에 가루가 들어 있는 것으로, 산화식이다. 산화식은 일단 개봉하면 재사용은 불가능하다. 핫팩을 주머니에 넣고 퇴근한 다음날 아침 열심히 흔들어봐야 소용이 없다.
핫팩 원리
산화식 핫팩의 원리를 살펴보자.
철가루는 공기 중에서 산소와 만나면 산화반응을 일으키면서 열을 발산한다. 쇠에 녹이 스는 현상과 같다. 하지만 녹은 천천히 슬기 때문에 열을 느낄 수는 없다. 그러니까 핫팩은 단시간에 철가루에 녹이 슬게 만들어서 열을 내는 것이다. 이때 소금과 활성탄이 반응을 촉진한다. 또 핫팩의 부직포 주머니에는 미세한 구멍이 있는데 공기가 이 구멍으로 들어가면서 철가루가 반응한다. 그래서 핫팩을 처음 사용할 때는 열심히 흔들어주어야 공기가 더 많이 철과 만날 수 있고 빨리 따듯해진다.
액체식 핫팩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액체처럼 보이는 것는 다름 아닌 아세트산나트륨 과포화 용액이다. 이것이 충격을 받으면 굳어지면서 결정을 만드는데, 이때 에너지가 방출되면서 따듯해진다. 충격은 달려 있는 버튼으로 한다. 버튼을 누르면 결정이 만들어지고 딱딱해진다. 액체식 핫팩은 재사용이 가능한데, 딱딱해진 것을 끓는 물에 데우면 다시 용액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핫팩 지속시간과 온도, 주의점
핫팩은 30℃~60℃까지 올라간다. 생각보다 뜨겁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할 경우 화상을 입을 수 있다. 핫팩의 지속시간은 중량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 8~15시간이다. 중량이 무거울수록 지속시간은 길다. 가끔 핫팩을 침대에 깔고 자는 경우도 있는데, 이렇게 장시간 사용하면 저온화상을 입을 위험이 높다. 저온화상은 물집이 잡힐 정도의 고온 화상이 아니라 40~50℃ 정도의 온도에 장시간 노출되면서 발생하는 화상이다. 그래서 처음에는 화상을 입은 줄 모를 수 있는데, 시간이 지나면 피부가 붉게 달아오르고, 간지러움을 느끼면서 통증이 심해진다. 그렇기 때문에 핫팩은 한 곳에 집중적으로 사용하지 말고, 여러 부위에 고루 사용하는 것이 좋고, 맨살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알아두면 힘이 되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리적인 사색가 MBTI-INTP유형 (0) | 2021.11.25 |
---|---|
세금 3.3% 계산기와 원천징수 궁금증 (0) | 2021.11.24 |
2022 지방 선거일과 대통령 선거 (0) | 2021.11.22 |
북촌 가정비 맛집-황칠가 (0) | 2021.11.21 |
대설특보와 대설 (0) | 2021.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