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을 사거나 임대할 때 부동산을 이용한다면 부동산 복비를 내야 합니다. 부동산 복비는 사는 사람과 파는 사람, 또 임대하는 사람과 임차하는 사람 모두 내야 합니다. 최근 부모님으로부터 독립하는 2030들이 많은데, 여기서는 월세 복비 계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월세 거래는 전세와 같은 기준을 적용합니다. 둘 다 모두 임대차 거래이기 때문입니다. 새로 바뀐 임대차 중개수수요율은 아래의 표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전세가 아닌 월세는 보증금과 월세 금액으로 나뉘는데, 어떻게 복비를 계산하는 것일까요? 바로 환산보증금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환산보증금을 구하는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환산보증금 = 보증금 +(월세 *100) |
단, 여기서 환산보증금이 5천만 원 미만인 경우는, 보증금 + 월세 *70 으로 계산한다는 점도 기억해두시기 바랍니다.
자, 이제 예를 들어 볼까요?
보증금 1,000만 원에 월세가 50만 원인 집을 구했다고 합시다. 위의 공식에 따르면, 환산보증금은 6천만 원입니다.
1,0000만 원 +(50만 원 * 100) = 6,000만 원(환산보증금)
이 6천만 원을 위의 표에 따라 0.4%의 요율을 적용하면, 6,000만원*0.4%=24만 원입니다. 즉 부동산 중개수수료는 24만원입니다.
만약 어렵고 복잡하다면 포털사이트의 복비 계산기를 이용하셔도 됩니다. 포털사이트에서 위의 거래 조건으로 계산해보겠습니다.
참고로, 복비는 언제 지급하는 걸까요? 복비 지급일은 계약서 작성일이 원칙이지만 협의에 따라, 거래가 완료된 후, 잔금일에 지급하면 됩니다.
21년 10월에 바뀐 부동산 중개 수수료에 관해서는 아래의 포스팅을 참조하세요!
2021.10.20 - [알아두면 힘이 되는] - 부동산 복비 계산과 꿀팁
'알아두면 힘이 되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촌 가성비 고깃집 - 끼로끼로부엉이 (2) | 2021.10.23 |
---|---|
백신패스 찬반 이유 (0) | 2021.10.22 |
부동산 복비 계산과 꿀팁 (0) | 2021.10.20 |
국제연합일 10월 24일 (0) | 2021.10.19 |
가을모기 한큐에 해결하는 법 (0) | 2021.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