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힘이 되는

국제연합일 10월 24일

코코누스 2021. 10. 19. 17:14
728x90
반응형

국제연합일은 1945년 10월 24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국제연합(UN)이 조직된 것을 세계적으로 기념하는 날입니다. 다가오는 국제연합일을 앞두고, 국제연합이란 어떤 조직인지, 왜 생겨났는지, 우리나라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제연합(UN)이란?

 

국제연합은 전쟁을 방지하고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1945년 51개국이 참여해 설립된 국제기구입니다. UN이라는 명칭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의 루즈벨트 대통령이 처음 제안한 것이라고 합니다.

UN은 국가들의 연합체이며, 절대 권력을 가진 초국가적 기구나 세계 정부는 아닙니다. UN의 재정은 회원국들의 분담금이나 자발적 기여금에 의존하고 있으며 무엇보다 군대나 무기 등 군사력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UN은 회원국들의 입장과 의지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UN 안보리의 5개 상임이사국은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입니다. 본부는 미국 뉴욕에 있습니다. 

 

 

국제연합기

 

우리나라와 UN

 

우리나라는 건국 이후부터 UN에 가입하려고 꾸준히 노력했습니다. 1949년 처음 UN가입신청을 했지만 소련의 거부권 행사로 부결되었고 1973년 6.23 선언에서 남북한 동시 가입 의사를 밝혔으나 이번에는 영구분단을 가져올 수 있다는 북한의 반대로 무산되었습니다.

그러던 중 88서울올림픽이 소련과 중국 등 공산권 국가들이 참여해 성공적으로 치러지면서 국제정세가 유엔 가입에 유리하게 바뀌게 되었고, 1991년 소련이 해체되고 동구권이 몰락하는 국제적 분위기가 유엔 가입의 속도를 더해 주었습니다.  우리 정부는 북한을 설득해 그해 8월에 UN가입신청서를 제출했고 만장일치로 추천안이 채택되었습니다. 9월 17일 개최된 제46차 총회 개막일에 남북한의 UN가입이 승인되었습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161번째 유엔 회원국이 될 수 있었습니다. 

우리나라는 1950년부터 국제연합창설일을 법정공휴일로 지정했고 가장 중요한 국가기념일로 여겼습니다. 하지만 1976년 북한이 국제연합 산하의 기구에 공식 가입하게 되자 이에 항의하는 표시로 공휴일을 철폐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