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대 대통령 선거의 사전 투표율이 36.9%로 나타나면서 선거 열기가 뜨거워지고 있다. 지난 19대 대선의 사전투표율은 26.1%였고, 21대 총선의 사전투표율은 26.7%였으니 매우 놀라운 일이다. 그렇다면 이번 대통령 선거의 총투표율은 얼마나 될까? 혹시 사전투표율만 높고 본 투표율은 낮은 건 아닐까? 역대 대통령 선거의 선거일과 투표율, 후보, 선거 방식을 살펴보자.
1. 제1대 대통령 선거
- 선거일 : 최초의 대통령 선거는 1948년 7월 20일.
- 방식 : 대통령과 부통령 선거를 같이 진행했고 당시의 대통령 선거는 국회의 재적 인원 3분의 2 이상 출석과 출석인원 3분의 2 이상의 표를 얻어야 하는 간접선거. 임기 4년.
- 후보자 : 이승만, 김구, 안재홍
- 결과 : 이승만이 92.3%이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 김구는 13표, 안재홍은 2표, 기권 2표
2. 제2대 대통령 선거
- 선거일 : 1952년 8월 5일
- 방식 : 헌법 개정으로 직접선거
- 후보자 : 이승만 대통령, 조봉암, 이시영, 신흥우
- 결과 : 투표율 88.1%, 득표율 74.6%로 이승만 당선
3. 제3대 대통령 선거
- 선거일 : 1956년 5월 15일
- 방식 : 직접선거
- 후보자 : 이승만 대통령, 신익희, 조봉암(선거기간 중 신익희 사망)
- 결과 : 투표율 94.4%, 70%를 득표한 이승만 당선
4. 제4대 대통령 선거
- 선거일 : 1960년 3월 15일, 8월 12일
- 방식 : 3월 15일은 직접선거, 8월 12일은 간접선거
3월 15일 선거에서 이승만이 당선되었으나 부정선거로 밝혀져 4.19 혁명이 일어나 하야하고, 같은 해 8월 15일에 간접선거로 다시 선거를 치렀다. 방식은 재적인원 3분의 2 이상의 득표로 선출하며, 1차에 당선자가 없을 때는 2차를 진행.
- 후보자 : [3월 15일] 이승만 대통령, 조병옥(선거일 전에 심장마비로 사망)
[8월 15일] 윤보선, 김창숙, 변영태, 백낙준, 허정, 김도연 등 12명
- 결과 : [3월 15일] 투표율 97%, 득표율 100%로 이승만 당선
[8월 15일] 263명의 국회의원 중 259명이 출석했고 208표를 얻은 윤보선 당선
5. 제5대 대통령 선거
- 선거일 : 1963년 10월 15일
- 방식 : 직접선거, 1961년 군사쿠데타 이후 첫 대통령 선거로 최다 득표자가 당선
- 후보자 : 박정희, 윤보선, 장이석, 오재영, 변영태, 허정
- 결과 : 투표율 85%, 득표율 46,6%로 박정희 당선
6. 제6대 대통령 선거
- 선거일 : 1967년 5월 3일
- 방식 : 직접선거, 최초로 부재자 투표 도입
- 후보자 : 박정희, 윤보선, 이세진, 전진한, 김준연, 오재영
- 결과 : 투표율 83.6%, 득표율 51.4%로 박정희 당선
7. 제7대 대통령 선거
- 선거일 : 1971년 4월 27일
- 방식 : 직접선거, 3선 개헌
- 후보자 : 박정희, 김대중, 박기출, 이종윤, 진복기
- 결과 : 투표율 79.8%, 득표율 53.2%로 박정희 당선(김대중 득표율 45.2%)
8. 제8대 대통령 선거
- 선거일 : 1972년 12월 23일
- 방식 : 1972년 10월 17일 비상계엄령을 선포하고 국회해산, 헌법을 개정한 유신헌법을 만들었고 이에 따라 통일주체 국민회의에서 대통령을 선출하는 간접선거(당시 서울 장충체육관에서 진행), 임기는 6년으로 변경
- 후보자 : 박정희(단독 후보)
- 결과 : 대의원 2,359명 중 2,357표로 당선(2표 무효)
9. 제9대 대통령 선거
- 선거일 : 1978년 7월 6일
- 방식 : 통일주체국민회의에 의한 간접선거
- 후보자 : 박정희(단독 후보)
- 결과 : 대의원 2,583명 중 2,587표로 당선(5표 기권)
10. 제10대 대통령 선거
- 선거일 : 1979년 12월 6일
- 방식 : 박정희 대통령의 사망에 따라 통일주체 국민회의에서 간접선거
- 후보자 : 최규하(단독 후보)
- 결과 : 대의원 2,549명 중 2,465표로 최규하 당선(11표 기권, 84표 무효)
11. 제11대 대통령 선거
- 선거일 : 1980년 8월 27일
- 방식 :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간접선거
- 후보자 : 전두환(단독 후보)
- 결과 : 대의원 2,525명 중 2,524명의 찬성으로 전두환 당선
12. 제12대 대통령 선거
- 선거일 : 1981년 2월 25일
- 방식 : 국민이 직접 뽑은 5천 명 이상의 대통령 선거인단이 대통령을 뽑는 간접선거
- 후보자 : 전두환, 김종철, 유치송, 김의택
- 결과 : 90.2%(총 5,272명의 선거인단에서 4,755표)의 득표율을 얻은 전두환 당선
13. 제13대 대통령 선거
- 선거일 : 1987년 12월 16일
- 방식 : 국민들의 민주화와 직선제 요구를 받아들인 1987년 6.29 선언에 따라 직접선거(임기 5년)
- 후보자 :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 신정일
- 결과 : 투표율 89.2%, 득표율 36.3%의 노태우 당선(김영삼 28%, 김대중 27%, 김종필 8%)
14. 제14대 대통령 선거
- 선거일 : 1992년 12월 18일
- 방식 : 직접선거
- 후보자 : 김영삼, 김대중, 정주영, 박찬종, 이병호, 김옥선, 백기완
- 결과 : 투표율 81.9%, 득표율 42%로 김영삼 당선(김대중 33.8%, 정주영 16%, 박찬종 6%)
15. 제15대 대통령 선거
- 선거일 : 1997년 12월 18일
- 방식 : 직접선거
- 후보자 : 김대중, 이회창, 이인제, 권영길, 허경영, 김한식, 신정일
- 결과 : 투표율 80.7%, 득표율 40.3%로 김대중 당선(이회창 38.7%, 이인제 19.2%, 권영길 1.2%)
16. 제16대 대통령 선거
- 선거일 : 2002년 12월 19일
- 방식 : 직접선거, 전자개표 진행, 방송사의 출구조사 시작
- 후보자 : 노무현, 이회창, 권영길, 이한동, 김영규, 김길수
- 결과 : 투표율 70.8%, 득표율 48.9%로 노무현 당선(이회창 46.6%, 권영길 3.9%)
17. 제17대 대통령 선거
- 선거일 : 2007년 12월 19일
- 방식 : 직접선거
- 후보자 : 이명박, 정동영, 이회창, 문국현, 건영길, 이인제, 허경영, 금민, 정근모, 전관
- 결과 : 투표율 63%, 득표율 48.7%로 이명박 당선(정동영 26%, 이회창 15%, 문국현 6%, 권영길 3% 등)
18. 제18대 대통령 선거
- 선거일 : 2012년 12월 19일
- 방식 : 직접선거, 재외선거 시행, 선상투표 진행
- 후보자 : 박근혜, 문재인, 이정희(사퇴), 강지원, 김순자, 김소연, 박종선
- 결과 : 투표율 75.8%, 득표율 51.5%로 박근혜 당선(문재인 48%)
19. 제19대 대통령 선거
- 선거일 : 2017년 5월 9일
- 방식 : 직접선거,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가결로 파면됨에 따라 조기 실시. 대선 최초로 사전투표 진행.
- 후보자 :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조원진, 오영국, 장성민, 이재오, 김선동, 남재준(사퇴), 이경희, 김정선(사퇴), 윤홍식, 김민찬
- 결과 : 투표율 77.2%, 득표율 41.8%로 문재인 당선(홍준표 24%, 안철수 21%, 유승민 6%, 심상정 6%)
'알아두면 힘이 되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지방선거 날짜 사전투표 법정공휴일 (0) | 2022.03.10 |
---|---|
허경영 지지율과 득표율 주요공약 (0) | 2022.03.09 |
2022 춘분과 부활절 (0) | 2022.03.03 |
2022 우회전 신호위반 간단 정리 (0) | 2022.02.24 |
신논현역 카레 맛집_직딩 혼밥 호미호식 (1) | 2022.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