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힘이 되는

2022 4대 보험 요율과 4대 보험계산기 알아봐요

코코누스 2022. 3. 16. 13:48
728x90
반응형

2022년 연봉계약서에 사인을 한 지도 한 달이 넘었다. 월급명세서를 볼 때마다 웬 세금이 이렇게 많은지 한숨부터 나온다. 직장인이라면 4대 보험에 의무 가입해야 한다고 하는데, 과연 4대 보험이란 무엇이며 요율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자. 

 

4대 보험이란?

 

4대 보험이란 국민의 안정적인 경제생활 보장을 위해 정부가 직접 관리하는 의무가입 보험을 말한다. 근로자라면 인턴이나 비정규직, 정규직 상관없이 모두 가입하는 것이 필수다. 종류로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그리고 산재보험이 있다. 여기서 산재보험은 전액 회사(기업)의 부담이므로 월급에서 빠져나가는 것은 3가지이다. 

 

 

계산기와_볼펜
2022년 4대 보험요율은 어떻게 될까?

 

 

1. 국민연금

국민연금은 정부가 운영하는 공적 연금제도로, 국민 개개인이 소득이 있을 때 납부한 보험료를 바탕으로 나이가 들거나 사고나 질병, 장애가 발생했을 때 본인이나 유족에게 연금을 지급하여 기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다. 국민연금 요율은 9%로 근로자와 사업주가 반반 부담한다.

 

보험요율 근로자 사업주
기준월소득액 4.5% 4.5%

 

2. 건강보험

건강보험은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로 구분된다. 고액의 진료비가 가정에 부담이 되지 않도록 국민들이 평소에 보험료를 내고 필요할 때 보험급여를 제공함으로써 국민들이 서로 위험을 분담하고 필요한 의료 서비스를 받도록 하는 사회보장제도이다. 건강보험요율은 6.99%이며, 근로자와 사업주가 역시 반반 부담한다.

 

기준 보험요율 근로자 사업주
건강보험료 6.99% 3.495% 3.495%
장기요양보험료 12.27% 6.135% 6.135%

 

3. 고용보험

고용보험은 일자리를 잃게 될 경우, 실업급여를 지급하고 재취업을 촉진하며, 육아휴직 급여와 산전산후 휴가급여를 위한 보험이다. 고용보험 요율은 1.8%이며 역시 근로자와 사업주가 반반 부담한다. 다만 회사의 규모에 따라 차등이 있다.

 

보험요율 근로자 사업주
실업급여 0.8% 0.8%
고용안정, 직업능력 개발사업 150인 미만 사업장 - 0.25%
150인 이상 우선지원 대상 사업장 - 0.45%
150인 이상~1000인 미만 - 0.65%
1,000인 이상, 국가지방자치단체 - 0.85%

 

4. 산재보험

산재보험은 일터에서 생기는 재해를 입은 근로자와 그 가족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국가가 책임을 지는 의무보험이다. 보험료는 사업주가 전액 부담하며 업종에 따라 보험요율이 다르다.

 

업종 보험요율 업종 보험요율
1. 광업 5.8%~18.6% 6 임업 5.9%
2. 제조압 0.7%~2.5% 7 어업 2.9%
3 전기/가스/상수도업 0.9% 8 농업 2.1%
4 건설업 3.7% 9 기타의 사업 0.7~10.7%%
5 운수/창고/통신업 0.9~1.9% 10 금융 및 보험업  

 

위와 같이 4대 보험의 이유와 보험요율을 알아보았다. 올해 나의 4대 보험료는 얼마나 될까? 아래의 사이트를 이용하면 간편하게 계산해볼 수 있다.

 

나의 4대 보험료 계산해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