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전 가스요금 청구서에 가스 앱을 이용하라는 문구를 발견한 뒤부터 가스 앱을 다운로드하여 자가검침으로 처리하고 있다. 코로나 이후에는 검침원과의 접촉으로 인한 전염을 걱정할 필요가 없으니 여러모로 편리하다. 특히 자가검침을 하면서 추가로 몇 번의 클릭만으로도 매달 가스비 350원 이상을 절약할 수 있다.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가스 앱을 소개한다.
1. 플레이스토어나 앱스토어에서 '가스앱'을 다운
플레이스토어나 앱스토어에서 가스앱을 다운로드한다. 별점이 5개인 걸 보니, 사용이 편리함을 알 수 있다.
2. 본인 인증
기본적인 주소를 입력하고 본인 인증을 해준다. 귀찮더라도 한 번 하고 나면 이후는 무사통과이므로 꾹 참고 진행하자. 그다지 번거롭지 않다.
3. 자가 검침 후 캐시 적립
우리 동네의 가스 자가 검침일은 15일 전후이다. 이 시기가 되면 집안에 있는 도시가스 계기판을 찍어서 입력하면 된다. 외진 곳에 있어서 사진이 제대로 찍히지 않을 때는 직접 숫자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혹시 날짜를 놓치지 않도록 알람을 보내준다.
자가검친을 마친 후 아래쪽에 있는 '적립 가능 캐시 확인 버튼'을 누르면 여러 가지 프로모션이 있다. 여기에 참여해서 캐시를 적립할 수 있다. 물론 자가 검침으로도 150 캐시를 받을 수 있다. 내 경우는 매달 자가 검침 150, 모바일 청구서로 100, 챗봇 퀴즈로 100 등으로 캐시를 받아서 익월 도시가스 요금에서 할인받는다.
4. 프로모션으로 캐시 적립
가스앱을 친구에게 추천하면 500 캐시를 받을 수 있고 기타 프로모션에 참여하면 더 많은 캐시를 받을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챗봇 퀴즈 참여, 모바일 청구, 자가 검침 이 세 가지만 휘릭 해도 350원이 절약되기 때문에 간단하다. 챗봇 퀴즈는 혹시 틀리더라도 3번의 기회가 있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적립한 캐시는 익월 요금에서 정산되도록 설정해 놓으면 알아서 빠져나간다.
또 필요한 경우에는 방문검침을 요청할 수도 있다. 하지만 스스로 해 버리는 것이 번거롭지 않고 편하다. 앱으로 모바일 청구서를 신청하면 매달 우편함에서 청구서를 확인하지 않아도 되고, 앱 안에서 작년과 올해 사용량의 비교, 지난달과의 비교도 쉽기 때문에 필수적인 앱이다.
'알아두면 힘이 되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공시 가격 조회 어디서 어떻게 할까? (0) | 2022.04.06 |
---|---|
2022 요양보호사 자격증과 시험일정 (2) | 2022.04.01 |
금새 금세 어떤 게 맞을까? (0) | 2022.03.26 |
해외택배 국제택배 EMS 보내기 간단 정리 (0) | 2022.03.24 |
2022 4대 보험 요율과 4대 보험계산기 알아봐요 (0) | 2022.03.16 |